OSI 7계층
- 물리 - 데이터링크 - 네트워크 - 전송 - 세션 - 표현 - 응용
1.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
- 전기, 물리 신호에 대한 계층
- 단순하게 장비를 가동시키기 위한 전기 공급부터 장비끼리의 물질적인 연결을 위한 랜 케이블, 그리고 무선 통신을 위한 주파수까지 다양한 전기적/물리적인 것들을 모두 포함한다.
- 단위를
Bit
로 사용하지만, 이 때 Bit
의 의미는 전기적 신호 (0 또는 1)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이다.
- 이 계층에서는 오류 제어, 알고리즘 등 없이 단순한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 담당
- 대표적인 프로토콜 / 기술들은 전선, 광케이블, 동축 케이블, 랜 케이블, 무선 전파, PSTN, 리피터, DSU, CSU, 모뎀 등이 있다.
2. 데이터 링크 계층(Data Link Layer)
- 1계층의 물리적인 링크를 이용해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송하는 계층
- 3계층에서와 같이 논리 주소(ex, IP)가 아닌 물리 주소(ex, MAC)를 참조하여 각 장비간 전송을 하게 한다.
- 물리 적인 주소를 지정한다 - MAC 주소
- 전송하는 데이터(비트의 모음들)의 헤더에 다음 목적지 주소를 같이 붙이게 된다.
- 특히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꼬리 부분에 오류 검출을 위한 부분이 따라 붙는다
-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전체 구성을 Frame이라고 한다.
- 데이터 링크 계층의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이다.
- 물리 계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찾고 수정하는데 필요한 기능 / 절차들을 제공한다
- 부계층으로 구분하기도 함
- LLC - Logic Link Control
- MAC - Media Access Control
- 물리적 전송 선로의 특징과 매체 간의 연결 방식에 따른 제어 처리